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24절기 중 가을의 다섯 번째 절기인 한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한로는 어떤 뜻을 가지고 있으며, 어떤 풍습이 있었는지, 그리고 한로와 관련된 속담이나 시가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한로 뜻과 의미
▼한로 뜻 자세히 알아보기

한로는 '차가울 한 (寒)'과 '이슬로 (露)'가 합쳐진 단어로, '찬 이슬’이라는 뜻입니다. 즉, 찬 이슬이 맺히는 시기를 일컫습니다. 한로는 24절기 중 17번째 절기로, 태양의 황경이 195도인 때이며, 양력으로는 10월 8일 내지 9일에 찾아옵니다. 음력으로는 9월 무렵에 들죠.
한로 무렵이 되면 공기가 차츰 선선해지면서 찬 공기가 나뭇잎과 풀잎 등에 맺혀 찬 이슬이 맺히곤 합니다. 실제로 한로는 곧 찬 이슬이 맺히는 시기라는 의미의 절기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중국에서는 "한로 초후에는 기러기가 초대를 받은 듯 모여들고, 중후에는 참새가 줄고 조개가 나오며, 말후에는 국화꽃이 노랗게 핀다"고 하였는데요. 고려사에도 이와 같은 내용의 기록이 적혀 있답니다. 실제로 한로 즈음이면 여름새인 제비가 떠나고 겨울철새인 기러기가 한반도를 찾아오기 시작합니다. 울긋불긋 아름다운 가을 단풍이 물들기 시작하는 것도 바로 한로 무렵이에요!
한로의 풍습
▼한로의 풍습 자세히 알아보기

한로는 중양절과 비슷한 시기에 들곤 했습니다. 중양절은 우리의 세시 명절의 하나로, 양수 중 가장 높은 수인 '9’가 두 번 겹친 날을 기념하는데요. 음력 9월 9일 중양절에는 각 가정에서 예쁘게 물든 국화꽃을 따서 국화전을 부쳐 먹거나 각종 계절 음식을 준비해 조상에게 차례를 지냈습니다. 중양절과 비슷한 시기에 드는 한로에도 높은데 올라가 국화를 감상하고, 고향을 바라본다는 등의 풍습이 있었다고 해요.
한편 한로에는 머리에 붉은색의 수유 열매를 꽂기도 했는데요. 붉은 자줏빛을 띤 수유 열매는 양의 색으로 벽사의 효과가 있어 잡귀를 쫓을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한로와 상강에 먹는 추어탕은 여름철 더위와 일에 지친 농민들의 기력을 보충해 주는 주요한 단백질 공급원이었습니다. 한로는 가을에서 겨울로 계절의 변화가 속행하는 시기, 가을의 마지막 두 절기인 한로와 상강 무렵에는 몸보신을 하는 것도 잊지 않았는데요. 이 무렵 서민들은 미꾸라지로 만든 추어탕을 만들어 먹었습니다. 미꾸라지는 예부터 가을에 누렇게 살찌는 고기라 하여 '추어’라고 불렀는데, 여름 내 더위로 잃은 원기를 회복시켜 주기 위해 찬바람이 불기 시작하는 초가을에 즐겨 먹었습니다. 본초강목에도 미꾸라지가 양기를 북돋워주는 음식이라고 기록돼 있을 정도예요.
한로의 속담과 시
▼한로의 속담과 시 자세히 알아보기
한로와 관련된 속담
- 한로가 지나면 제비도 강남으로 간다: 한로가 날씨가 추워지는 기점이라는 뜻으로, 한로가 지나고 나면 여름철새인 제비가 따뜻한 곳으로 이동한다는 말입니다.
- 가을 곡식은 찬이슬에 영근다: 한로에 이슬이 내리면 날씨가 쾌청하여 곡식들이 잘 무르익는다는 말입니다.
한로와 관련된 시
- 나태주의 <단풍>: "단풍아 단풍아 네가 오늘은 왜 그리 붉으냐"라는 구절로 유명한 시로, 가을바람과 단풍의 아름다움을 표현한 시입니다.
- 김수영의 <낙엽>: "낙엽이야 네 생각은 어떠냐"라는 구절로 시작하는 시로, 가을에서 겨울로 넘어가는 시기에 잎이 떨어지는 나무들의 생각을 의인화하여 표현한 시입니다.
- 윤동주의 <서시>: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라는 구절로 시작하는 시로, 가을밤의 감성과 삶에 대한 고민을 담은 시입니다.
이상으로 24절기 중 가을의 다섯 번째 절기인 한로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한로는 찬 이슬이 맺히는 시기를 의미하며, 가을의 깊이를 느낄 수 있는 절기입니다. 한로에는 국화꽃을 감상하고, 수유 열매를 꽂고, 추어탕을 먹는 등의 풍습이 있었습니다. 한로와 관련된 속담과 시도 함께 살펴보았습니다. 이번 가을에도 한로를 맞이하여 건강하고 행복하게 보내시길 바랍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강뜻과 날짜, 풍습과 먹는음식까지 한번에 알아보자!! (0) | 2023.10.11 |
---|---|
한글날 유래와 공휴일 알아보자! 한국인이라면 알아야할 상식 (1) | 2023.10.11 |
대게 철, 대게의 종류와 제철 시기, 고르는 법을 알아보자 (1) | 2023.10.09 |
올림픽 메달리스트 혜택 (1) | 2023.10.08 |
아시안게임 메달리스트 혜택 총정리 : 올림픽과의 차이까지! (0) | 2023.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