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상강뜻과 날짜, 풍습과 먹는음식까지 한번에 알아보자!!

by Car-Formation 2023. 10. 11.

썸네일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24절기 중 하나인 상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상강은 언제인지, 무슨 뜻인지, 어떤 풍습이 있는지, 그리고 상강에 먹는 음식은 무엇인지 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상강뜻과 날짜

▼상강뜻과 날짜 자세히 알아보기

가을 사진

상강은 태양의 황경이 210도에 도달할 때를 말합니다. 양력으로는 10월 23일 경이고, 음력으로는 9월 초에 해당합니다. 상강은 '서리가 내리다’라는 뜻으로, 가을의 마지막 절기입니다. 상강을 지나면 입동이 되어 겨울이 시작됩니다. 상강 시기에는 가을의 쾌청한 날씨가 계속되는 대신에 밤의 기온이 매우 낮아집니다. 따라서, 수증기가 지표에서 엉겨 서리가 내리며, 온도가 더 낮아지면 첫 얼음이 얼기도 합니다.


상강의 풍습

▼상강의 풍습 자세히 알아보기

단풍

상강은 가을의 마지막 절기로, 단풍이 절정에 이르며, 국화도 활짝 피는 늦가을 시기입니다. 그래서 상강에는 국화와 관련된 음식을 많이 먹었습니다. 국화주, 국화전 등이 제철음식입니다. 국화주는 국화를 이용하여 빚은 술로, 우리 조상들이 가장 즐겼던 대표적인 계절주의 하나입니다. 음력 9월 9일 중양절에 마시면 장수하고 무병하다 하여 이날 즐겨 마셨다고 합니다. 국화전은 찹쌀가루를 익반죽하여 동그랗게 만들어 그 위에 국화 꽃잎을 붙인 후 기름에 지져내는 음식으로, 약간 쓴 맛이 나지만 건강에 좋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상강과 관련된 속담과 문학 작품

상강은 가을의 마무리를 알리는 절기로, 여러 속담과 문학 작품에서도 언급되었습니다. '상강날 벼농사’라는 속담은 너무 늦게 일을 시작하거나 준비하는 것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벼농사는 상강 전에 마무리해야 하므로, 상강날 벼농사를 하면 수확이 없다는 뜻입니다. '상강날 벼농사’라는 속담은 김소월의 시 ‘산골소년’에서도 등장합니다.

산골소년
김소월

산골 소년아 네가 어디 있느냐
산골 소년아 네가 어디 있느냐
상강날 벼농사 하느라
산골 소년아 네가 어디 있느냐

산골 소년아 네가 어디 있느냐
산골 소년아 네가 어디 있느냐
추석날 떡잎 캐느라
산골 소년아 네가 어디 있느냐

이 시는 상강과 추석이라는 절기를 이용하여, 늦은 계절에 일을 하는 산골 소년의 쓸쓸함과 고독함을 표현한 것입니다. 상강날 벼농사와 추석날 떡잎 캐기는 농사의 순서가 엉망이라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산골 소년의 인생도 엉망이라는 것을 암시합니다.


상강의 의미와 가치

상강은 가을의 마지막 절기로, 자연의 변화와 인간의 삶을 연결하는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상강은 서리가 내리는 시기로, 농사에 영향을 미치는 절기입니다. 상강은 단풍과 국화가 피는 시기로, 자연의 아름다움을 감상할 수 있는 절기입니다. 상강은 가을의 마무리를 알리는 시기로, 한 해의 성과와 반성을 돌아볼 수 있는 절기입니다. 상강은 우리 조상들이 만들어낸 문화와 풍습을 이어받고 발전시킬 수 있는 절기입니다. 상강은 우리에게 다양한 의미와 가치를 전달하는 절기입니다.


이번에는 24절기 중 하나인 상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상강은 서리가 내리는 시기로, 가을의 마지막 절기입니다. 상강은 국화주, 국화전 등의 음식과 관련된 풍습이 있으며, 여러 속담과 문학 작품에서도 언급되었습니다. 상강은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보여주고, 우리 문화의 정수를 담고 있는 절기입니다. 상강은 우리에게 많은 것을 가르쳐주고, 우리의 삶에 풍요와 행복을 선사하는 절기입니다.

이상으로 상강에 대한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다음에는 다른 절기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한로 뜻? 24절기의 의미와 풍습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24절기 중 가을의 다섯 번째 절기인 한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한로는 어떤 뜻을 가지고 있으며, 어떤 풍습이 있었는지, 그리고 한로와 관련된 속담이나 시가 있는지 살

coinoiljang.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