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중(百中)이란 음력 7월 15일로, 불교의 중요한 명절이자 우리 민족의 세시풍속 중 하나입니다. 이날은 조상님들의 혼을 불러 감사와 공양을 드리는 날이며, 지옥에서 고통받는 모든 유령들을 구제하고 천도해 주는 날이기도 합니다. 백중날에는 백종(百種), 중원(中元), 망혼일(亡魂日), 우란분절(盂蘭盆節) 등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불리는데, 이들은 모두 백중의 유래와 의미를 설명하는 말들입니다. 이 글에서는 백중의 뜻과 역사, 그리고 백중에 관련된 불교의 행사와 우리 민족의 전통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백중의 유래와 의미
백중이라는 말은 여러 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첫째, 백중은 스님들이 한 곳에 모여 공부하는 하안거(夏安居)의 결제(結制) 기간이 끝나는 해제(解制)의 자자(自恣)일에 서로의 잘잘못을 이야기하고 반성한다는 뜻에서 백중(白衆)이라고 쓴 것입니다. 이때 스님들은 서로에게 사과하고 용서하며, 부처님과 스님들께 공양을 올리고 기도합니다. 이런 의미에서 백중은 불교에서 스님들의 자유와 화목을 상징하는 날이기도 합니다.
둘째, 백중은 음력 7월 15일이 24절기의 중심이라 해서 붙여진 이름이며, 백종(百種)은 이 무렵이 과일과 채소가 많이 나오는 때이므로 백 가지(많다는 뜻) 씨앗을 마련한다는 의미로 붙여졌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날은 농사일이 잠시 쉬는 시기이기도 하여, 조상님들께 감사와 예우를 표하는 날로 여겨졌습니다. 그래서 망혼일(亡魂日)이라고도 하며, 돌아가신 조상님들의 혼을 불러 제사를 지내고, 결혼하지 못하거나 자손이 없어 제삿밥을 못 받는 조상님들을 위해 백중제사를 지내기도 합니다.
셋째, 백중은 상원(1월 15일)과 하원(10월 15일) 그리고 이날(중원)을 합하여 삼원이라는 초제를 지내는 도가의 세시풍속입니다. 도가란 도교와 관련된 종파나 단체를 말하는데, 도가에서는 삼원날에 천신과 지신과 인신에게 제사를 지내고, 죽은 자들의 혼을 구제하고 복을 비는 행사를 합니다. 이때 중원은 지옥의 문이 열리는 날로, 지옥에서 고통받는 모든 유령들을 구제하고 천도해 주는 날이라고 믿습니다. 그래서 중원절(中元節)이라고도 합니다.
넷째, 백중은 불교의 대표적인 공양행사인 우란분절(盂蘭盆節)과 관련된 날입니다. 우란분절은 부처님의 제자인 목결(目犍連)이 부처님의 가르침을 따라 자신의 어머니가 지옥에서 고통받는 것을 구제하고 천도해 준 이야기에 기초합니다. 이때 목결은 부처님과 스님들께 우란분(盂蘭盆)이라는 그릇에 담긴 공양을 바치고, 그 공덕을 어머니와 모든 유령들에게 돌려주었다고 합니다. 우란이란 말은 사람이 거꾸로 매달려 있는 것과 같은 심한 고통이란 뜻으로, 인도에서는 조상의 고통을 우란이라 하며, 분이란 그릇을 의미하는 범어로 발우(바르다), 즉 부처님께 올리는 그릇을 말합니다. 즉 우란분절은 부처님과 스님들께 지극한 마음으로 공양을 올려 조상들이 모든 고통과 속박에서 벗어나 극락왕생하게 하는 천도의식을 뜻합니다.
백중에 관련된 불교의 행사
백중날에는 불교에서 여러 가지 행사를 합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은 우란분재(盂蘭盆齋)라고도 하는 합동천도재(合同天道齋)입니다. 이는 사찰에서 음력 7월 15일 전후로 49일 동안 조상님들과 모든 유령들을 천도해 주기 위해 기도하고 공양하는 행사입니다. 이때 일반 신도들은 다니는 절이나 주변의 절에 백중기도 신청을 할 수 있는데, 신청금과 함께 인적사항을 제출하거나 전화하면 접수가 되어, 영가의 명단이나 신청자의 명단이 게시되어 그 49일 동안 함께 기도할 수 있게 됩니다. 백중기도에 참여하는 신도들은 조상님들의 이름과 사망연도를 적은 위패(位牌)나 영가옷(靈衣服)을 절에 가져다 놓거나, 절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위패는 조상님들의 혼을 상징하는 나무판이며, 영가옷은 조상님들의 영혼을 위해 준비하는 옷입니다. 이들은 절에서 임시로 보관하다가 백중날에 신도들에게 돌려주거나 화장합니다.
백중기도는 보통 7주 동안 진행되는데, 첫째 주에 백중입재(百中入齋) 법회를 하고, 그 이후 매주 같은 요일에 정기적으로 법회를 합니다. 마지막 주에는 백중해제(百中解齋) 법회를 하며, 이날은 음력 7월 15일이거나 그 전후로 정해집니다. 백중해제 법회에서는 신도들은 절에서 준비한 공양을 부처님과 스님들께 바치고, 조상님들과 모든 유령들을 위해 기도합니다. 그리고 위패나 영가옷을 절에서 가져가거나 화장하고, 절에서 받은 부적이나 부처님의 사진을 집에 가져가서 놓습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조상님들과 유령들의 혼이 천도되었다고 믿습니다.
백중기도 외에도 백중날에는 다른 불교의 행사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일부 사찰에서는 백중날에 공양을 바치는 대신에 쌀이나 김치 등의 물품을 스님들께 전달하거나, 절에서 운영하는 복지시설이나 사회복지기관에 기부하는 행사를 합니다. 이런 행사는 부처님의 가르침인 자비와 불가사의(不可思議)를 실천하는 것으로, 공양보다 더 큰 공덕을 얻을 수 있다고 합니다. 또한, 일부 사찰에서는 백중날에 절 앞에 장막을 치고, 유령들을 위해 음식과 과일을 제공하거나, 유령들의 이름을 적은 종이를 절에서 구입하여 절 앞에 걸어두는 행사를 합니다. 이런 행사는 유령들이 고통에서 벗어나 평안하게 살 수 있도록 돕는 것으로, 인간과 유령의 화목을 도모하는 것입니다.
백중에 관련된 우리 민족의 전통
백중날은 불교뿐만 아니라 우리 민족의 세시풍속으로도 자리잡았습니다. 우리 민족은 백중날을 조상님들의 혼을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날로 여겼으며, 이날은 가족들이 모여 함께 식사하고 이야기하는 날이기도 했습니다. 백중날에는 보통 밥과 국물, 반찬 등으로 구성된 제삿밥을 준비하고, 조상님들의 상전(像前)이나 묘소(墓所)에 차려서 제사를 지냈습니다. 제사가 끝나면 제삿밥을 가족들이 나누어 먹었으며, 이때 제삿밥은 조상님들의 은혜와 축복을 받은 것으로 생각되었습니다.
백중날에는 다른 전통적인 풍습도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백중날에는 쌀밥 대신에 백중밥이라고 하는 밥을 먹었습니다. 백중밥은 쌀밥에 콩, 팥, 삶은 달걀, 잡곡 등을 섞어서 만든 밥으로, 백 가지(많다는 뜻) 재료를 넣어서 만들었다고 합니다. 백중밥은 조상님들의 혼을 위해 준비한 것이기도 하고, 이날이 과일과 채소가 많이 나오는 때이기도 하여, 풍요롭고 다양한 음식을 먹는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또한, 백중날에는 백중란(百中蘭)이라고 하는 꽃을 따거나 사서 집에 꽂았습니다. 백중란은 음력 7월에 피는 향기로운 꽃으로, 조상님들의 혼을 모시는 꽃이라고 믿었습니다. 백중란은 조상님들의 혼을 위해 제사상에 올리기도 하고, 집안에 꽂아두기도 했습니다. 백중란은 조상님들의 혼을 안내하고 평안하게 해주는 꽃이라고 생각되었습니다.
백중은 불교의 중요한 명절이자 우리 민족의 세시풍속 중 하나입니다. 이날은 조상님들의 혼을 불러 감사와 공양을 드리는 날이며, 지옥에서 고통받는 모든 유령들을 구제하고 천도해 주는 날이기도 합니다. 백중날에는 불교에서 여러 가지 행사를 하고, 우리 민족에서도 다양한 전통적인 풍습을 따르며, 가족들과 함께하는 날입니다. 이 글에서는 백중의 뜻과 역사, 그리고 백중에 관련된 불교의 행사와 우리 민족의 전통을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이를 통해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에 대한 이해와 존중을 높일 수 있기를 바랍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탄도항 : 나혼산 전현무가 추천하는 인생 노을뷰 여행지 (2) | 2023.09.12 |
---|---|
빌런뜻 : 일상생활에서 자주들리는말이 이런 의미였어? (0) | 2023.09.11 |
24절기 : 백로뜻 가을의 시작, 의미와 유래, 날짜까지? (2) | 2023.09.09 |
우체국 택배조회 : 기다리지말고 알아볼수 있네? 나빼고 다쓴다고? (0) | 2023.09.09 |
ETA 뜻: 뉴진스 노래가 이런 의미였다니!! (0) | 2023.09.09 |